(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vs. 김혜수 주연 디즈니+ 드라마!)
📰 대한민국 저널리즘은 죽었다 – 그리고 두 작품이 던지는 질문
확언컨대, 대한민국의 저널리즘은 죽었다.
권력 앞에서 진실을 왜곡하고, 은폐하고, 축소하는 모습을 보며 우리는 이미 오래전에 저널리즘의 장례를 치렀다.
그런 의미에서 영화 <스포트라이트>와 디즈니플러스 드라마 <트리거>는
서로 다른 방식으로 저널리즘의 현실을 조명하며, 진실을 밝히려는 언론의 역할을 탐구한다.
📌 <스포트라이트> – 진실을 향한 탐사 저널리즘의 모범
📌 <트리거> – 저널리즘이 가진 양날의 검
🎻 <스포트라이트> – 탐사 저널리즘의 이상
<스포트라이트>는 미국 3대 일간지 중 하나인 보스턴 글로브의 특종팀이 거대한 권력과 맞서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.
특종팀은 하나의 교향곡처럼 조화롭게 사건을 파헤친다.
로비(마이클 키튼), 마이크(마크 러팔로), 사샤(레이첼 맥아담스)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강렬한 소리를 만들어낸다.
🎭 마이클 키튼(로비) – 냉철하고 인내심 강한 리더
🎭 마크 러팔로(마이크) – 감성적이고 다혈질적인 행동파
🎭 레이첼 맥아담스(사샤) – 피해자 중심의 취재로 결정적 증거를 수집
진실을 향한 집요한 추적이 결국 카톨릭 성범죄를 파헤치는 결과로 이어진다.
💡 <스포트라이트>는 기자들이 권력과 맞서야 하는 이유를 묻는다.
🔥 <트리거> – 저널리즘이 무기가 될 때
김혜수가 주연을 맡은 **디즈니플러스 드라마 <트리거>**는 <스포트라이트>와는 다른 시선에서 저널리즘을 탐구한다.
극 중 김혜수는 진실을 좇는 기자가 아니라, 언론이 어떻게 사람들의 인식을 조작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역할을 맡는다.
📌 “미디어는 진실을 밝히는 도구인가, 누군가를 조종하는 무기인가?”
<스포트라이트>가 저널리즘의 순기능을 강조했다면,
<트리거>는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뉴스가 어떻게 조작될 수 있는지 파헤친다.
🔎 탐사 보도가 아니라, 조작된 뉴스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?
🔎 진실을 좇는 기자와 진실을 조작하는 미디어의 충돌
💡 <트리거>는 언론이 꼭 정의를 위한 도구가 아닐 수도 있음을 경고한다.
📊 <스포트라이트> vs. <트리거> 비교 분석
스포트라이트 | 트리거 | |
장르 | 실화 기반 탐사 저널리즘 영화 | 스릴러 & 미디어 조작 드라마 |
주요 인물 | 기자 (보스턴 글로브 특종팀) | 뉴스 조작의 중심에 선 언론인 |
진실을 대하는 태도 | 탐사 보도를 통해 권력의 비리를 폭로 | 언론이 권력을 어떻게 조작하는지 탐구 |
주요 메시지 | “저널리즘이 권력을 감시해야 한다.” | “미디어는 어떻게 진실을 왜곡하는가?” |
🎞️ 결론 – 우리가 선택해야 할 저널리즘
💡 <스포트라이트>는 탐사 저널리즘의 순기능을, <트리거>는 저널리즘의 이면을 보여준다.
💡 현대 사회에서 뉴스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무기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하는 두 작품.
💡 진실을 좇을 것인가, 진실을 조작할 것인가?
🎥 두 작품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우리에게 저널리즘의 현실을 묻고 있다.
'COLUMNS > 내 시간을 아껴주는 영화속 인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터넷 개인방송, 한 인간의 우주와 천민자본주의 (0) | 2025.03.07 |
---|---|
매트릭스와 힌두교의 연관성: 영화 속 숨겨진 상징들 (0) | 2025.03.06 |